청소란 단지 깨끗하게 쓸고 닦는 것 뿐만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활동을 말한다.
▶ 먼지를 닦아내고 그 밑에 숨겨져 있던 부분을 드러낸다. - 잠재되어 있는 부분을 현재화(顯在化) 시킨다.
▶ 실제로 손으로 만져보고(Skin Ship), 이상이 없는가를 점검한다.
▶ 따라서 청소는 작업장의 환경을 깨끗하게 함과 동시에, 숨겨져 있는 미결함(문제점)을 발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미결함이란?쓰레기, 더러움, 구부러짐, 마모, 진동, 흔들림, 누출, 녹, 흠, 이상음, 발열, 느슨함, 덜컹거림, 편심, 이상한 냄새, 깨짐, 조각, 빠짐, 이상한 움직임, 부족, 변형, 비산...
공장과 사무실 청소를 사람에 비유하면 목욕을 하는 것과 같다. 목욕은 매일의 피로를 풀어주고, 그날 쌓인 떼를 없애주고 내일을 위한 몸과 마음의 준비도 된다. 이와같이 주변 환경이나 설비에 대한 철저한 청소활동을 통해 여러 가지 미세한 문제점, 잠재 위험 요소를 사전에 배제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반복된 청소활동으로 환경 및 설비, 물품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됨으로써 주인의식의 함양과 품질, 능률, 안전, 위생면에서 효과적인 대응을 할 수 있다.
장소에 대한 포인트
▶ 운반 통로나 보행 통로에 대하여 - 급하게 돌아야 할 곳은 없는가 - 바닥에 요철은 없는가 - 배관이나 배선이 바닥에 노출되어 있지는 않는가 - 통로에 물건이 놓여 있지 않는가 - 통로에 지저분한 작업쓰레기가 흐트러져 있지 않는가
▶ 물건의 보관장소(선반, Rack, 바닥 등)에는 누가 보아도 알 수 있도록 표시가 되어 있는가
▶ 물건을 쌓아 놓은 상태는 어떤가 - 무너지기 쉽도록 되어 있지 않은가 - 재료나 제품에 흠이 나기 쉽도록 되어 있지 않은가
▶ 먼지 때문에 재료, 제품이 쓸모없게 되어 있지 않은가
▶ 입구나 출구의 문은 제대로 닫혀 있는가
▶ 벽이나 천정에 틈, 구멍 등은 없는가
▶ 유리창이 깨어져 있지는 않은가
▶ 천정이나 대들보, 선반에 먼지가 쌓여 있지 않는가
▶ 철판 등이 벽에 세워져 있지 않은가
▶ 사용하지 않는 설비에 먼지나 기름이 묻은 채로 방치되어 있지 않은가
▶ 깔판 위에 물건(자재, 공구)이 놓여 있는가